3차 TV토론회, 사법 리스크·도덕성·가족 논란 등 비방전 집중
공약집 늦게 공개된 ‘깜깜이 대선’…정책 실종에 실망감 확산
“尹정부 내란 ‘심판론’서 시작된 조기대선, 네거티브전 불가피”

▲ 더불어민주당 이재명(왼쪽부터), 민주노동당 권영국, 국민의힘 김문수, 개혁신당 이준석 대선 후보가 27일 서울 마포구 상암동 MBC 스튜디오에서 진행된 정치 분야 TV토론회에 앞서 포즈를 취하고 있다. /국회사진기자단
제21대 대통령선거가 코앞으로 다가온 28일 여야 후보 간 ‘네거티브 전’이 더욱 격화하고 있다. 대선 막판으로 접어들며 상대방의 사법 리스크, 도덕성 문제, 가족 논란 등을 둘러싼 의혹과 비방이 집중 부각되면서 정책 경쟁은 뒷전으로 밀리고, 정쟁과 감정 싸움으로 선거판이 혼탁해졌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이날 정치권에 따르면 전날 린 제21대 대선 3차 TV토론회는 정책 논의보다 네거티브 공방이 극에 달하며 선거 막판 혼탁 양상을 드러냈다. 이날 토론회에서 각 후보들은 상대의 부정 이슈를 집중적으로 파고들며 치열한 비방전을 벌였다. 김문수 국민의힘 후보는 토론 시작부터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후보의 ‘사법 리스크’를 집중적으로 거론했다.
김문수 후보는 “이렇게 많은 재판을 동시에 받는 사람이 대통령이 되는 게 맞느냐”며, 쌍방울 대북송금 의혹과 이 후보 주변 인물들의 사망 사례까지 언급하며 공세 수위를 높였다. 이에 대해 이재명 후보는 “검찰 정권의 증거 없는 조작 기소”라며 “아무런 구체적 증거도 없다”고 강하게 반박했다.
이준석 개혁신당 후보 역시 이재명 후보의 욕설 논란 등을 문제 삼으며 공격에 가세했다. 이준석 후보는 “이재명 후보의 욕설을 보고 청소년들이 따라 하는 것 아니냐”는 식의 비판을 펼쳤고, 과거 인터넷 커뮤니티에 올라온 성적 표현까지 거론해 논란을 키웠다.
이재명 후보도 맞공세에 나섰다. 김문수 후보를 향해 “윤석열 전 대통령의 아바타”라고 비난하며, “내란 세력이 다시 복귀할 수 있다”는 프레임을 내세웠다. 이 후보는 “김 후보가 현실을 외면하는 극우 외교 정책을 고집한다”고 지적했고, 김 후보는 “이 후보는 검찰 수사에 대한 입장을 명확히 하지 않는다”며 맞받아쳤다.
민주당은 김문수 후보의 과거 행적과 가족 논란, 재산 문제 등을 연이어 폭로하며 네거티브 공세를 강화했다. 선대위 신속대응단은 김 후보의 측근 특혜 의혹, 과거 국회 난입 사건, 소방헬기 의전용 사용 등 각종 의혹을 브리핑하며 맞불을 놨다.
정치권에서는 이번 대선의 네거티브 양상이 과거보다 훨씬 심화한 데에는 이재명 후보의 사법 리스크가 크게 작용했다고 평가한다. 이재명 후보를 둘러싼 여러 수사와 의혹이 선거판의 가장 큰 변수가 되면서, 상대 진영도 이를 집중적으로 활용하고 있다는 설명이다.
실제로 최근 여론조사 결과는 대선 막판 네거티브 경쟁에 대한 국민의 피로감을 보여준다. 한국사회여론연구소(KSOI)가 27일 발표한 조사에 따르면 응답자 중 63%가 “최근 대선은 정책 경쟁보다 인신공격과 폭로 위주로 진행되고 있어 실망스럽다”고 답했다.
특히 20대·30대 젊은 층에서 이러한 불만이 높게 나타났으며, 이로 인해 투표율 저하와 정치 무관심 현상이 심화할 가능성도 제기된다. (자세한 사항은 중앙선거관리위원회 공식 홈페이지(www.nec.go.kr)에서 확인)
한편, 대선에서 정책공약집이 늦게 공개됐고, ‘깜깜이 대선’이라는 지적이 많다는 비판도 이어진다. 주요 정당과 후보들의 정책공약집, 선거공보 등은 공식 선거운동 기간이 시작된 이후에야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정책·공약마당과 각 당 홈페이지에 순차적으로 공개됐다.
이로 인해 유권자들이 후보별 정책을 충분히 비교·검토할 시간이 부족하다는 불만이 제기됐다. 언론과 시민사회에서는 “정책 없는 깜깜이 대선”이라는 비판이 이어지며 네거티브전을 부추겼다는 지적도 이어진다.
이번 대선이 네거티브 공방이 격화하는 상황에서도 유권자들이 정책과 비전을 제대로 판단할수 있는 기회가 상실 됐다는 전문가 비판이 나온다.
채진원 경희대 교수는 스카이데일리에 “이재명 후보의 사법리스크 공방으로 인해 네거티브전 공방이 악순환처럼 이어질 수 밖에 없는 대권 구도가 그려진데다, 포퓰리즘 성 정책이 어떠한 검증도 없이 중구난방한 대선이 됐다”고 아쉬워했다.
채 교수는 “윤석열정부의 내란혐의로 인해 촉발된 조기대선인 만큼, 심판론 등이 분분하며 네거티브전으로 이어질 수 밖에 없는 구도가 그려졌다”며 “개헌 논의나 정치 통합 등의 내용이 전혀 없던 토론회였다”고도 평가했다.
그는 “특해 재정 관련해서 구체적 재원에 대한 구상 없이 ‘돈 풀겠다’는 식의 선심성 공약이 이어지며 전반적으로 정책에 대한 구체성도 떨어졌고 국민의 알권리도 부족했다”고 밝혔다.
장혜원 기자 hyjang@skyedaily.com
출처 : 스카이데일리
▲ 더불어민주당 이재명(왼쪽부터), 민주노동당 권영국, 국민의힘 김문수, 개혁신당 이준석 대선 후보가 27일 서울 마포구 상암동 MBC 스튜디오에서 진행된 정치 분야 TV토론회에 앞서 포즈를 취하고 있다. /국회사진기자단
제21대 대통령선거가 코앞으로 다가온 28일 여야 후보 간 ‘네거티브 전’이 더욱 격화하고 있다. 대선 막판으로 접어들며 상대방의 사법 리스크, 도덕성 문제, 가족 논란 등을 둘러싼 의혹과 비방이 집중 부각되면서 정책 경쟁은 뒷전으로 밀리고, 정쟁과 감정 싸움으로 선거판이 혼탁해졌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이날 정치권에 따르면 전날 린 제21대 대선 3차 TV토론회는 정책 논의보다 네거티브 공방이 극에 달하며 선거 막판 혼탁 양상을 드러냈다. 이날 토론회에서 각 후보들은 상대의 부정 이슈를 집중적으로 파고들며 치열한 비방전을 벌였다. 김문수 국민의힘 후보는 토론 시작부터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후보의 ‘사법 리스크’를 집중적으로 거론했다.
김문수 후보는 “이렇게 많은 재판을 동시에 받는 사람이 대통령이 되는 게 맞느냐”며, 쌍방울 대북송금 의혹과 이 후보 주변 인물들의 사망 사례까지 언급하며 공세 수위를 높였다. 이에 대해 이재명 후보는 “검찰 정권의 증거 없는 조작 기소”라며 “아무런 구체적 증거도 없다”고 강하게 반박했다.
이준석 개혁신당 후보 역시 이재명 후보의 욕설 논란 등을 문제 삼으며 공격에 가세했다. 이준석 후보는 “이재명 후보의 욕설을 보고 청소년들이 따라 하는 것 아니냐”는 식의 비판을 펼쳤고, 과거 인터넷 커뮤니티에 올라온 성적 표현까지 거론해 논란을 키웠다.
이재명 후보도 맞공세에 나섰다. 김문수 후보를 향해 “윤석열 전 대통령의 아바타”라고 비난하며, “내란 세력이 다시 복귀할 수 있다”는 프레임을 내세웠다. 이 후보는 “김 후보가 현실을 외면하는 극우 외교 정책을 고집한다”고 지적했고, 김 후보는 “이 후보는 검찰 수사에 대한 입장을 명확히 하지 않는다”며 맞받아쳤다.
민주당은 김문수 후보의 과거 행적과 가족 논란, 재산 문제 등을 연이어 폭로하며 네거티브 공세를 강화했다. 선대위 신속대응단은 김 후보의 측근 특혜 의혹, 과거 국회 난입 사건, 소방헬기 의전용 사용 등 각종 의혹을 브리핑하며 맞불을 놨다.
정치권에서는 이번 대선의 네거티브 양상이 과거보다 훨씬 심화한 데에는 이재명 후보의 사법 리스크가 크게 작용했다고 평가한다. 이재명 후보를 둘러싼 여러 수사와 의혹이 선거판의 가장 큰 변수가 되면서, 상대 진영도 이를 집중적으로 활용하고 있다는 설명이다.
실제로 최근 여론조사 결과는 대선 막판 네거티브 경쟁에 대한 국민의 피로감을 보여준다. 한국사회여론연구소(KSOI)가 27일 발표한 조사에 따르면 응답자 중 63%가 “최근 대선은 정책 경쟁보다 인신공격과 폭로 위주로 진행되고 있어 실망스럽다”고 답했다.
특히 20대·30대 젊은 층에서 이러한 불만이 높게 나타났으며, 이로 인해 투표율 저하와 정치 무관심 현상이 심화할 가능성도 제기된다. (자세한 사항은 중앙선거관리위원회 공식 홈페이지(www.nec.go.kr)에서 확인)
한편, 대선에서 정책공약집이 늦게 공개됐고, ‘깜깜이 대선’이라는 지적이 많다는 비판도 이어진다. 주요 정당과 후보들의 정책공약집, 선거공보 등은 공식 선거운동 기간이 시작된 이후에야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정책·공약마당과 각 당 홈페이지에 순차적으로 공개됐다.
이로 인해 유권자들이 후보별 정책을 충분히 비교·검토할 시간이 부족하다는 불만이 제기됐다. 언론과 시민사회에서는 “정책 없는 깜깜이 대선”이라는 비판이 이어지며 네거티브전을 부추겼다는 지적도 이어진다.
이번 대선이 네거티브 공방이 격화하는 상황에서도 유권자들이 정책과 비전을 제대로 판단할수 있는 기회가 상실 됐다는 전문가 비판이 나온다.
채진원 경희대 교수는 스카이데일리에 “이재명 후보의 사법리스크 공방으로 인해 네거티브전 공방이 악순환처럼 이어질 수 밖에 없는 대권 구도가 그려진데다, 포퓰리즘 성 정책이 어떠한 검증도 없이 중구난방한 대선이 됐다”고 아쉬워했다.
채 교수는 “윤석열정부의 내란혐의로 인해 촉발된 조기대선인 만큼, 심판론 등이 분분하며 네거티브전으로 이어질 수 밖에 없는 구도가 그려졌다”며 “개헌 논의나 정치 통합 등의 내용이 전혀 없던 토론회였다”고도 평가했다.
그는 “특해 재정 관련해서 구체적 재원에 대한 구상 없이 ‘돈 풀겠다’는 식의 선심성 공약이 이어지며 전반적으로 정책에 대한 구체성도 떨어졌고 국민의 알권리도 부족했다”고 밝혔다.
장혜원 기자 hyjang@skyedaily.com
출처 : 스카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