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동훈 국민의힘 전 대표가 10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 분수대 앞에서 제21대 대통령 선거(대선) 출마 선언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데일리안 홍금표 기자
한동훈 전 국민의힘 대표가 10일 오후 국회에서 대선 출마를 선언했다. 국민의힘 당헌에 따르면 한동훈 전 대표는 대선 출마가 불가능했다. 하지만 국힘 대선경선 선거관리위원회는 출마가 가능하다고 밝혔다. 대체 누가 한동훈이 출마할 수 있는 길을 열어준 걸까?
국민의힘 당헌 제71조 2항은 ‘당권-대권 분리규정’이다. 대선에 출마하려는 선출직 당직자는 1년 6개월 전에 사퇴해야 한다는 것이다. 경선까지 맡을 수 있는 당직은 상임고문 정도다.
그런데 국힘 대선경선 선관위는 지난 9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경선 준비 1차 회의를 통해 해당 규정을 이번 경선에는 적용하지 않기로 결정했다. 호준석 국힘 선관위 대변인은 회의 후 기자들에게 "지금은 특수하고 비상한 상황이다. 그 부분은 적용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같은 날 국힘 지도부와 원로그룹 만남에서 일부 원로가 한동훈 출마를 요청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국민의힘 지지층과 윤석열 대통령 탄핵반대를 외쳤던 사람들은 누가 한동훈 전 대표의 대선출마 길을 열어줬느냐며 비판하고 있다. 윤 대통령이 탄핵을 당하게 된 계기가 한 전 대표를 비롯한 친한계의 ‘배신’이었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에게 한 전 대표의 대선출마는 어불성설이라고 생각됐던 것이다.
이런 문제 제기에는 친윤계가 앞장섰다. 지난 8일 오후 김민전 의원은 페이스북에 국힘 당헌 제71조 2항을 올렸다. 9일에는 기존 글을 지우고 새 글을 올렸다.
김 의원은 당헌 조항을 게재한 뒤 "당헌 71조 2항에 긁힌 사람들이 있었다. 서울시 의원들과 저녁 모임 후 집에 가서 보니 문자메시지 욕이 한바가지였다"며 "욕설 문자를 보니 지난 123일을 마음 졸이며 아스팔트 위에서 지내느라 잊고 있던 이 비극, 공화국의 위기를 초래한 비극의 시원에 대한 기억이 되살아난다"고 썼다.
김 의원은 "지난해 대통령과 여당 대표의 갈등이 거대 이슈를 중심으로 한 갈등이 아니라 독대를 하니 마니 밥을 먹니 마니와 같은 갈등이어서 부끄러웠다"고 털어놨다. 그리고 이런 갈등이 이어지면서 대통령의 원내 지지기반이 100석 아래로 떨어지게 된 것이라고 지적했다.
관심을 끈 건 다음 대목이었다. 김 의원을 비롯한 국힘 의원들이 서울구치소로 윤 대통령 면회를 갔을 때 들은 이야기라고 했다. 비상계엄 해제 후 한 전 대표가 윤 대통령을 찾아가 "왜 나를 사살하려 했느냐"고 따져 물었다는 것이다. 이에 윤 대통령은 "정말 그런 명령을 내렸으면 홍장원의 해임결제 서류에 서명하겠느냐"고 반문하며 한 전 대표가 보는 앞에서 서명했다는 것이다. 이 사연이 알려지며 국힘 지지층 사이에서는 한 전 대표 비판론이 커지고 있다.
한 전 대표는 지난 1월 설 연휴 전후로 김종인 전 국힘 비대위원장, 조갑제 조갑제닷컴 대표, 유인태 전 민주당 의원을 만나 조언을 구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김종인 전 비대위원장은 이후로도 언론에 나와 한 전 대표 칭찬을 늘어놨다.
지난 3월 20일 김종인 전 비대위원장은 한 매체와의 인터뷰에서 "계엄이 선포됐을 때 여당 대표로서 계엄에 반대하는 입장을 표시하고, 계엄을 해제하는데 동참하는 모습을 보였는데 대단한 용기라고 생각한다"고 주장했다. 김 전 위원장은 이어 "한 전 대표를 배신자라고 하는 건 잘못된 판단"이라며 "그런 사고를 가지고서는 국민의힘에는 희망이 없다"고 비판했다.
앞서 3월 17일에는 친한계가 개설한 유튜브 채널에 출연해 "조기 선거가 이뤄진다고 전제하면 한동훈 대표 능가할 인물이 국민의힘에 존재하지 않는다고 본다"고 주장했다. 그는 또 "내각제 개헌을 하면 자연적으로 의회와 정부가 일치되기 때문에 문제가 생기지 않는다"는 주장도 폈다.
전경웅 기자 enoch2051@hanmail.net
출처 : 저작권자 © 자유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동훈 국민의힘 전 대표가 10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 분수대 앞에서 제21대 대통령 선거(대선) 출마 선언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데일리안 홍금표 기자
한동훈 전 국민의힘 대표가 10일 오후 국회에서 대선 출마를 선언했다. 국민의힘 당헌에 따르면 한동훈 전 대표는 대선 출마가 불가능했다. 하지만 국힘 대선경선 선거관리위원회는 출마가 가능하다고 밝혔다. 대체 누가 한동훈이 출마할 수 있는 길을 열어준 걸까?
국민의힘 당헌 제71조 2항은 ‘당권-대권 분리규정’이다. 대선에 출마하려는 선출직 당직자는 1년 6개월 전에 사퇴해야 한다는 것이다. 경선까지 맡을 수 있는 당직은 상임고문 정도다.
그런데 국힘 대선경선 선관위는 지난 9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경선 준비 1차 회의를 통해 해당 규정을 이번 경선에는 적용하지 않기로 결정했다. 호준석 국힘 선관위 대변인은 회의 후 기자들에게 "지금은 특수하고 비상한 상황이다. 그 부분은 적용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같은 날 국힘 지도부와 원로그룹 만남에서 일부 원로가 한동훈 출마를 요청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국민의힘 지지층과 윤석열 대통령 탄핵반대를 외쳤던 사람들은 누가 한동훈 전 대표의 대선출마 길을 열어줬느냐며 비판하고 있다. 윤 대통령이 탄핵을 당하게 된 계기가 한 전 대표를 비롯한 친한계의 ‘배신’이었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에게 한 전 대표의 대선출마는 어불성설이라고 생각됐던 것이다.
이런 문제 제기에는 친윤계가 앞장섰다. 지난 8일 오후 김민전 의원은 페이스북에 국힘 당헌 제71조 2항을 올렸다. 9일에는 기존 글을 지우고 새 글을 올렸다.
김 의원은 당헌 조항을 게재한 뒤 "당헌 71조 2항에 긁힌 사람들이 있었다. 서울시 의원들과 저녁 모임 후 집에 가서 보니 문자메시지 욕이 한바가지였다"며 "욕설 문자를 보니 지난 123일을 마음 졸이며 아스팔트 위에서 지내느라 잊고 있던 이 비극, 공화국의 위기를 초래한 비극의 시원에 대한 기억이 되살아난다"고 썼다.
김 의원은 "지난해 대통령과 여당 대표의 갈등이 거대 이슈를 중심으로 한 갈등이 아니라 독대를 하니 마니 밥을 먹니 마니와 같은 갈등이어서 부끄러웠다"고 털어놨다. 그리고 이런 갈등이 이어지면서 대통령의 원내 지지기반이 100석 아래로 떨어지게 된 것이라고 지적했다.
관심을 끈 건 다음 대목이었다. 김 의원을 비롯한 국힘 의원들이 서울구치소로 윤 대통령 면회를 갔을 때 들은 이야기라고 했다. 비상계엄 해제 후 한 전 대표가 윤 대통령을 찾아가 "왜 나를 사살하려 했느냐"고 따져 물었다는 것이다. 이에 윤 대통령은 "정말 그런 명령을 내렸으면 홍장원의 해임결제 서류에 서명하겠느냐"고 반문하며 한 전 대표가 보는 앞에서 서명했다는 것이다. 이 사연이 알려지며 국힘 지지층 사이에서는 한 전 대표 비판론이 커지고 있다.
한 전 대표는 지난 1월 설 연휴 전후로 김종인 전 국힘 비대위원장, 조갑제 조갑제닷컴 대표, 유인태 전 민주당 의원을 만나 조언을 구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김종인 전 비대위원장은 이후로도 언론에 나와 한 전 대표 칭찬을 늘어놨다.
지난 3월 20일 김종인 전 비대위원장은 한 매체와의 인터뷰에서 "계엄이 선포됐을 때 여당 대표로서 계엄에 반대하는 입장을 표시하고, 계엄을 해제하는데 동참하는 모습을 보였는데 대단한 용기라고 생각한다"고 주장했다. 김 전 위원장은 이어 "한 전 대표를 배신자라고 하는 건 잘못된 판단"이라며 "그런 사고를 가지고서는 국민의힘에는 희망이 없다"고 비판했다.
앞서 3월 17일에는 친한계가 개설한 유튜브 채널에 출연해 "조기 선거가 이뤄진다고 전제하면 한동훈 대표 능가할 인물이 국민의힘에 존재하지 않는다고 본다"고 주장했다. 그는 또 "내각제 개헌을 하면 자연적으로 의회와 정부가 일치되기 때문에 문제가 생기지 않는다"는 주장도 폈다.
전경웅 기자 enoch2051@hanmail.net
출처 : 저작권자 © 자유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