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국산 생성형 AI ‘딥시크’의 로고. ‘딥시크’는 개인정보를 무차별적으로 수집한 뒤 중국 내 서버에 보관한다. 이점 때문에 세계 각국 정부와 기업이 ‘딥시크’ 접촉을 차단하고 있다. /딥시크 로고
지난달 발표 이후 엔비디아 주가 폭락 등을 야기했던 중국의 생성형 오픈 AI(인공지능) ‘딥시크’를 세계 각국이 차단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예외가 아니다. 이유는 ‘딥시크’를 사용하려면 무조건 동의해야 하는 ‘개인정보 수집·관리’ 약관 때문이다. ‘딥시크’는 이용자의 거의 모든 정보를 수집해 중국 내 서버에 보관한다. 이점 때문에 세계 각국이 ‘딥시크’ 사용을 차단하고 있다.
지난달 28일 미 해군이 ‘보안’을 이유로 가장 먼저 ‘딥시크’를 차단했다. 지난달 30일에는 이탈리아가 ‘딥시크’ 앱 다운로드 자체를 막아버렸다. 이후 대만, 캐나다, 일본, 호주 등이 ‘딥시크’를 차단했다. 미국 내에서도 국방부 등 정부 부처를 시작으로 텍사스 주 등 지방정부까지 ‘딥시크’ 차단에 나서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딥시크’ 접속을 차단하는 곳이 늘고 있다. 지난 1일 댐과 원전을 관리하는 한국수력원자력을 시작으로 기업은 개별적으로, 각 정부 부처와 공공기관은 필요성에 따라 ‘딥시크’ 접속을 차단하고 있다.
지난 4일에는 행정안전부가 ‘딥시크’ 사용에 유의해 달라는 공문을 각 부처와 17개 광역지자체에 전달했다. 이후 각 부처에서 본격적으로 차단 작업을 시작했다. 지난 5일 국방부와 외교부, 산업통상자원부가 ‘딥시크’ 접속을 차단한 데 이어 6일에는 보건복지부와 경찰청, 금융감독원도 차단에 나섰다. 모두 국민과 기업의 주요 정보를 다루는 부처들이다.
기업 가운데는 금융권과 ICT 업계가 ‘딥시크’ 차단에 앞장서고 있다. 네이버, 카카오, LG유플러스, 우리은행, 국민은행, 케이뱅크, 토스 등이 ‘딥시크’의 사내 사용을 중단한 것으로 알려졌다. 삼성, SK 같은 대기업은 이미 생성형 오픈 AI 사용을 사내에서 금지하고 있어 별다른 조치는 취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우리나라 정부와 공공기관, ICT와 금융 대기업 등이 ‘딥시크’ 접속 차단 조치에 나서자 기성언론 가운데 친중성향 매체는 "정부 기관이 ‘딥시크’ 접속을 차단하는 것은 한중 관계에 악영향을 줄 수도 있다"는 식으로 겁을 주기도 했다.
중국도 대외선전매체를 앞세워 반발하고 있다. 중국 공산당 관영 매체 ‘글로벌타임스’는 "미국이 중국 기술을 제한하는 것과 일치하는 이데올로기적 편향성을 보여주고 있다" "중국의 기술 발전을 억제하려는 서방 세계의 헛된 시도로 중국 기술 영향력 확대에 대한 불안감이 커지고 있음을 강조하는 것" "중국의 혁신을 약화시키려는 세력에 대응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전 세계가 딥시크의 기술적 이점을 경험하도록 하는 것"이라는 등의 주장을 폈다.
하지만 이런 주장이 먹힐 가능성은 낮아 보인다. 각국이 ‘딥시크’ 접속을 차단하는 가장 큰 이유는 개인정보 수집 범위와 보관 방식이다. ‘딥시크’는 사용자 이름 등 개인정보와 함께 인터넷 주소(IP), 사용자 기기에 관한 모든 정보, 키보드 입력 패턴 등을 수집해 중국 내에 있는 자사 서버에 보관한다고 밝혔다.
‘딥시크’가 수집한 각국 개인정보는 중국 공산당과 국가안전부(MSS), 공안이 언제든지 들여다볼 수 있다. 중국의 네트워크 안전법과 국가정보법은 중국 당국이 ‘국가안보’를 내세워 요구하면 중국 내 모든 기업은 서버 정보를 제공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2021년 5월 ‘뉴욕타임스’가 "애플이 고객의 모든 정보를 중국 공산당에게 넘겼다"는 요지의 보도를 내놓은 것도 애플이 아이클라우드 서버를 중국에 옮긴 것이 발단이 됐다.
전경웅 기자
출처 : 저작권자 © 자유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중국산 생성형 AI ‘딥시크’의 로고. ‘딥시크’는 개인정보를 무차별적으로 수집한 뒤 중국 내 서버에 보관한다. 이점 때문에 세계 각국 정부와 기업이 ‘딥시크’ 접촉을 차단하고 있다. /딥시크 로고
지난달 발표 이후 엔비디아 주가 폭락 등을 야기했던 중국의 생성형 오픈 AI(인공지능) ‘딥시크’를 세계 각국이 차단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예외가 아니다. 이유는 ‘딥시크’를 사용하려면 무조건 동의해야 하는 ‘개인정보 수집·관리’ 약관 때문이다. ‘딥시크’는 이용자의 거의 모든 정보를 수집해 중국 내 서버에 보관한다. 이점 때문에 세계 각국이 ‘딥시크’ 사용을 차단하고 있다.
지난달 28일 미 해군이 ‘보안’을 이유로 가장 먼저 ‘딥시크’를 차단했다. 지난달 30일에는 이탈리아가 ‘딥시크’ 앱 다운로드 자체를 막아버렸다. 이후 대만, 캐나다, 일본, 호주 등이 ‘딥시크’를 차단했다. 미국 내에서도 국방부 등 정부 부처를 시작으로 텍사스 주 등 지방정부까지 ‘딥시크’ 차단에 나서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딥시크’ 접속을 차단하는 곳이 늘고 있다. 지난 1일 댐과 원전을 관리하는 한국수력원자력을 시작으로 기업은 개별적으로, 각 정부 부처와 공공기관은 필요성에 따라 ‘딥시크’ 접속을 차단하고 있다.
지난 4일에는 행정안전부가 ‘딥시크’ 사용에 유의해 달라는 공문을 각 부처와 17개 광역지자체에 전달했다. 이후 각 부처에서 본격적으로 차단 작업을 시작했다. 지난 5일 국방부와 외교부, 산업통상자원부가 ‘딥시크’ 접속을 차단한 데 이어 6일에는 보건복지부와 경찰청, 금융감독원도 차단에 나섰다. 모두 국민과 기업의 주요 정보를 다루는 부처들이다.
기업 가운데는 금융권과 ICT 업계가 ‘딥시크’ 차단에 앞장서고 있다. 네이버, 카카오, LG유플러스, 우리은행, 국민은행, 케이뱅크, 토스 등이 ‘딥시크’의 사내 사용을 중단한 것으로 알려졌다. 삼성, SK 같은 대기업은 이미 생성형 오픈 AI 사용을 사내에서 금지하고 있어 별다른 조치는 취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우리나라 정부와 공공기관, ICT와 금융 대기업 등이 ‘딥시크’ 접속 차단 조치에 나서자 기성언론 가운데 친중성향 매체는 "정부 기관이 ‘딥시크’ 접속을 차단하는 것은 한중 관계에 악영향을 줄 수도 있다"는 식으로 겁을 주기도 했다.
중국도 대외선전매체를 앞세워 반발하고 있다. 중국 공산당 관영 매체 ‘글로벌타임스’는 "미국이 중국 기술을 제한하는 것과 일치하는 이데올로기적 편향성을 보여주고 있다" "중국의 기술 발전을 억제하려는 서방 세계의 헛된 시도로 중국 기술 영향력 확대에 대한 불안감이 커지고 있음을 강조하는 것" "중국의 혁신을 약화시키려는 세력에 대응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전 세계가 딥시크의 기술적 이점을 경험하도록 하는 것"이라는 등의 주장을 폈다.
하지만 이런 주장이 먹힐 가능성은 낮아 보인다. 각국이 ‘딥시크’ 접속을 차단하는 가장 큰 이유는 개인정보 수집 범위와 보관 방식이다. ‘딥시크’는 사용자 이름 등 개인정보와 함께 인터넷 주소(IP), 사용자 기기에 관한 모든 정보, 키보드 입력 패턴 등을 수집해 중국 내에 있는 자사 서버에 보관한다고 밝혔다.
‘딥시크’가 수집한 각국 개인정보는 중국 공산당과 국가안전부(MSS), 공안이 언제든지 들여다볼 수 있다. 중국의 네트워크 안전법과 국가정보법은 중국 당국이 ‘국가안보’를 내세워 요구하면 중국 내 모든 기업은 서버 정보를 제공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2021년 5월 ‘뉴욕타임스’가 "애플이 고객의 모든 정보를 중국 공산당에게 넘겼다"는 요지의 보도를 내놓은 것도 애플이 아이클라우드 서버를 중국에 옮긴 것이 발단이 됐다.
전경웅 기자
출처 : 저작권자 © 자유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