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선장군처럼 행세” “몸 낮춰라”… 석방되자 죄인인 양 온갖 주문
나라 혼란 부른 건 대통령 아닌 권력 찬탈 눈 먼 반국가·좌파 세력
朴 탄핵 땐 文에 “민심 경청” 압박… 尹엔 왜 정반대 잣대 들이대나

윤석열 대통령이 석방된 후 보수 언론들이 일제히 ‘자중’을 촉구하고 나섰다. 동아일보는 대통령이 “개선장군처럼 행동했다”며 국론 분열을 초래한다고 비난했고, 조선일보는 “헌재 결정 전까지 최대한 몸을 낮추라”고 주문했다. 중앙일보도 “강경 보수층을 자극하면 안 된다”며 외부 노출을 피하라고 충고했다.
하지만 이 같은 보수 언론의 태도는 명백한 이중잣대다. 윤 대통령은 법원이 인정한 정당한 절차를 거쳐 석방되었으며, 그를 환영한 국민들의 반응은 자연스러운 자유민주주의의 모습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마치 윤 대통령이 죄인인 양 ‘침묵’을 강요하는 것은 부당하다.
국론 분열을 초래한 것은 누구인가
보수 언론들은 윤 대통령이 지지자들에게 인사한 것이 ‘국론 분열’을 초래한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정작 대한민국을 혼란에 빠뜨린 것은 대통령이 아니라, 그를 강제로 끌어내리려 했던 세력들이다.
12.3 비상계엄이란 초유의 사태가 벌어진 배경을 돌아보자. 윤 대통령이 무리하게 계엄을 선포한 것도, 국가를 혼란에 빠뜨리려 한 것도 아니다. 오히려 그는 심각한 국가 안보 위기 속에서 정권 전복 시도를 저지하려 했다는 입장이다. 그런데도 그를 내란죄로 기소하고 탄핵까지 밀어붙인 것은 바로 야권과 이를 거드는 법조·언론 카르텔이었다.
그 과정에서 대한민국은 극심한 혼란에 빠졌고, 광장 정치는 다시 격화됐다. 그런데 이제 와서 보수 언론들은 대통령이 자신의 지지자들에게 인사한 것조차 ‘분열을 부추기는 행위’라고 비난한다. ‘국론 분열’을 우려한다면서도 그 원인 제공자에 대해선 침묵하는 모습이야말로 내로남불 아닌가.
‘자중하라’는 이중잣대
보수 언론들의 요구는 기본적으로 윤 대통령에게만 일방적인 자제를 강요하는 이중잣대를 드러낸다.
박근혜 대통령 탄핵 당시 문재인 전 대통령과 민주당은 거리로 나서 탄핵 정국을 주도했다. 그때 보수 언론들은 문 전 대통령에게 ‘자중하라’고 요구했는가? 오히려 ‘민심을 경청하라’며 정치적 행보를 부추겼다. 그러나 윤 대통령에게는 정반대의 잣대를 들이댄다.
더구나 탄핵 심판을 앞둔 대통령이 완전히 침묵해야 한다는 주장도 비논리적이다. 대통령은 국민이 선출한 국가 지도자이며, 헌정 질서를 수호해야 할 책무를 지닌다. 그런 대통령이 지지자들과 소통하는 것이 어째서 ‘절제되지 못한 행동’이 되는가? 헌재 결정 전까지 ‘관저에 틀어박혀 있으라’는 주문은 국민과의 소통을 차단하라는 것이나 다름없다.
진짜 국정 정상화의 길
보수 언론들은 윤 대통령이 헌재의 결정을 ‘겸허히 기다려야 한다’고 주장한다. 하지만 여기서 중요한 질문이 있다. 과연 헌재의 결정이 공정할 것인가?
법조계 상당수는 특정 정치 세력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그동안 편향된 판결을 내려온 전례도 많다. 대통령을 내란죄로 기소한 검찰이 공정성을 갖췄다고 보긴 어렵다. 이런 상황에서 윤 대통령이 무작정 ‘헌재 결정을 기다리겠다’며 손놓고 있는 것이야말로 무책임한 태도가 아닐까?
‘국정 정상화’는 윤 대통령이 침묵하는 것이 아니라, 대한민국을 혼란에 빠뜨린 세력들의 책임을 묻고 진실을 밝히는 과정에서 시작된다. 대통령이 지지자들에게 감사 인사를 전하고 국민과 적극적으로 소통하는 것은 국정 정상화의 필수 요소이지, 결코 비난받을 일이 아니다.
보수 언론의 ‘침묵 강요’, 누구를 위한 것인가
보수 언론들이 윤 대통령에게 ‘자중’을 요구하는 이유는 명백하다. 겉으로는 ‘국론 분열 방지’를 내세우지만, 실제로는 논란을 피하고 상황을 조용히 덮으려는 기득권적 발상에서 비롯된 것이다.
그러나 윤 대통령이 해야 할 일은 침묵이 아니라, 국민에게 진실을 알리고 대한민국이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보수 언론들이 진정 ‘국정 정상화’를 원한다면, 윤 대통령에게 침묵을 강요할 것이 아니라, 그를 내란죄로 기소하고 탄핵을 밀어붙인 세력들의 책임을 먼저 따져야 할 것이다.
진짜 국론 분열을 초래한 것은 누구인가? 그리고 지금 침묵해야 할 사람은 과연 누구인가?
김영 기자jebo@skyedaily.com
출처 : 스카이데일리
윤석열 대통령이 석방된 후 보수 언론들이 일제히 ‘자중’을 촉구하고 나섰다. 동아일보는 대통령이 “개선장군처럼 행동했다”며 국론 분열을 초래한다고 비난했고, 조선일보는 “헌재 결정 전까지 최대한 몸을 낮추라”고 주문했다. 중앙일보도 “강경 보수층을 자극하면 안 된다”며 외부 노출을 피하라고 충고했다.
하지만 이 같은 보수 언론의 태도는 명백한 이중잣대다. 윤 대통령은 법원이 인정한 정당한 절차를 거쳐 석방되었으며, 그를 환영한 국민들의 반응은 자연스러운 자유민주주의의 모습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마치 윤 대통령이 죄인인 양 ‘침묵’을 강요하는 것은 부당하다.
국론 분열을 초래한 것은 누구인가
보수 언론들은 윤 대통령이 지지자들에게 인사한 것이 ‘국론 분열’을 초래한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정작 대한민국을 혼란에 빠뜨린 것은 대통령이 아니라, 그를 강제로 끌어내리려 했던 세력들이다.
12.3 비상계엄이란 초유의 사태가 벌어진 배경을 돌아보자. 윤 대통령이 무리하게 계엄을 선포한 것도, 국가를 혼란에 빠뜨리려 한 것도 아니다. 오히려 그는 심각한 국가 안보 위기 속에서 정권 전복 시도를 저지하려 했다는 입장이다. 그런데도 그를 내란죄로 기소하고 탄핵까지 밀어붙인 것은 바로 야권과 이를 거드는 법조·언론 카르텔이었다.
그 과정에서 대한민국은 극심한 혼란에 빠졌고, 광장 정치는 다시 격화됐다. 그런데 이제 와서 보수 언론들은 대통령이 자신의 지지자들에게 인사한 것조차 ‘분열을 부추기는 행위’라고 비난한다. ‘국론 분열’을 우려한다면서도 그 원인 제공자에 대해선 침묵하는 모습이야말로 내로남불 아닌가.
‘자중하라’는 이중잣대
보수 언론들의 요구는 기본적으로 윤 대통령에게만 일방적인 자제를 강요하는 이중잣대를 드러낸다.
박근혜 대통령 탄핵 당시 문재인 전 대통령과 민주당은 거리로 나서 탄핵 정국을 주도했다. 그때 보수 언론들은 문 전 대통령에게 ‘자중하라’고 요구했는가? 오히려 ‘민심을 경청하라’며 정치적 행보를 부추겼다. 그러나 윤 대통령에게는 정반대의 잣대를 들이댄다.
더구나 탄핵 심판을 앞둔 대통령이 완전히 침묵해야 한다는 주장도 비논리적이다. 대통령은 국민이 선출한 국가 지도자이며, 헌정 질서를 수호해야 할 책무를 지닌다. 그런 대통령이 지지자들과 소통하는 것이 어째서 ‘절제되지 못한 행동’이 되는가? 헌재 결정 전까지 ‘관저에 틀어박혀 있으라’는 주문은 국민과의 소통을 차단하라는 것이나 다름없다.
진짜 국정 정상화의 길
보수 언론들은 윤 대통령이 헌재의 결정을 ‘겸허히 기다려야 한다’고 주장한다. 하지만 여기서 중요한 질문이 있다. 과연 헌재의 결정이 공정할 것인가?
법조계 상당수는 특정 정치 세력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그동안 편향된 판결을 내려온 전례도 많다. 대통령을 내란죄로 기소한 검찰이 공정성을 갖췄다고 보긴 어렵다. 이런 상황에서 윤 대통령이 무작정 ‘헌재 결정을 기다리겠다’며 손놓고 있는 것이야말로 무책임한 태도가 아닐까?
‘국정 정상화’는 윤 대통령이 침묵하는 것이 아니라, 대한민국을 혼란에 빠뜨린 세력들의 책임을 묻고 진실을 밝히는 과정에서 시작된다. 대통령이 지지자들에게 감사 인사를 전하고 국민과 적극적으로 소통하는 것은 국정 정상화의 필수 요소이지, 결코 비난받을 일이 아니다.
보수 언론의 ‘침묵 강요’, 누구를 위한 것인가
보수 언론들이 윤 대통령에게 ‘자중’을 요구하는 이유는 명백하다. 겉으로는 ‘국론 분열 방지’를 내세우지만, 실제로는 논란을 피하고 상황을 조용히 덮으려는 기득권적 발상에서 비롯된 것이다.
그러나 윤 대통령이 해야 할 일은 침묵이 아니라, 국민에게 진실을 알리고 대한민국이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보수 언론들이 진정 ‘국정 정상화’를 원한다면, 윤 대통령에게 침묵을 강요할 것이 아니라, 그를 내란죄로 기소하고 탄핵을 밀어붙인 세력들의 책임을 먼저 따져야 할 것이다.
진짜 국론 분열을 초래한 것은 누구인가? 그리고 지금 침묵해야 할 사람은 과연 누구인가?
김영 기자jebo@skyedaily.com
출처 : 스카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