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미디어


[중국에 포위된 한국] ① 기성언론에서 쉽게 찾을 수 있는 '반중정서 물타기'

2025-02-25
조회수 2053
尹 탄핵 반대로 공식화된 ‘반중’ 목소리…극우 선동 탓 아니다



중국에 포위된 한국 - 시리즈 목차

① 기성언론에서 쉽게 찾을 수 있는 ‘반중정서 물타기’

② 우리나라 곳곳에 스며든 中 공산당의 그림자

③ 中 ‘일대일로’는 공산당 ‘정치공작’이 드러난 것일 뿐

④ ‘하이브리드 전쟁’은 ‘초한전’의 일부…中 공산당, 韓 다 삼키고 日 노리는 중


2020년 초 우한폐렴(코로나 19) 대유행과 함께 ‘차이나 게이트’가 터진 뒤 국내에 확산한 밈(meme). 친중 좌익 세력의 ‘노 재팬’을 미러링한 것이었다. 그런데 반응은 훨씬 좋았다. /온라인 커뮤니티 캡처


헌법재판소(소장 권한대행 문형배)가 윤석열 대통령 탄핵 심판과 관련해 거듭 편향된 듯한 모습을 보이자 많은 국민들이 분노하고 있다. 그 화살은 헌재 연구관에게도 향하고 있다. 중국 출신으로 의심되는 재판관이 있는데 정체를 밝히라는 것이다.


국민들의 분노는 지난 20년 동안 중국 공산당의 파렴치한 행태와 이를 묵인한 우리나라 정치·행정·법조·언론·기업·학계에 대해 쌓여 온 분노가 잠깐 폭발한 데 불과하다. 일상생활에서 중국 공산당을 보고 느끼는 국민들의 실제 분노는 ‘친중 기득권 세력’의 상상 이상이다.


◇ 尹 탄핵 반대·반중 외치는 국민이 ‘소수의 극우’? 기성언론과 친중좌익의 거짓말


윤석열 대통령 탄핵소추안이 국회에서 통과되고 헌법재판소로 넘겨진 뒤 한국갤럽을 비롯한 ‘기성 여론조사기관’들은 ‘윤 대통령 탄핵 찬성’ 또는 ‘정권 교체’ 응답이 항상 50%를 훌쩍 넘는다고 발표해 왔다.


기성언론들은 이를 근거로 "윤 대통령 탄핵 반대를 주장하는 사람들의 부정선거 의혹이나 반중 정서는 국민 대다수가 동의하는 게 아니라 예전부터 활동했던 태극기 부대에 선동되거나 극우 유튜버의 가짜뉴스에 속은 일부 청년층에 불과하다"는 식의 보도를 해왔다.


특히 기성언론들은 지난해 12월부터 탄핵 반대 집회에서 터져 나오는 ‘CCP(중국 공산당) 아웃’이나 ‘훔치는 걸 중단하라(Stop the Steal)’는 구호를 계속 외면하다 지난달 14일 헌법재판소 탄핵심판 첫 변론기일 이후 윤 대통령 변호인단의 ‘부정선거’와 ‘중국의 하이브리드 전쟁’주장과 탄핵 반대 시위 세력이 점점 커지자 2월부터 마지못해 보도하고 있다.


지난주 보도만 봐도 언론이 국민들의 ‘반중 정서’를 애써 외면하려 함을 알 수 있다. 지난 12일 문화일보는 "정치권이 기름 붓는 ‘반중정서’"라는 기사를 통해 "최근 반중·혐중 정서는 비상계엄과 탄핵 정국에서 지지층 결집을 꾀하는 일부 정치인들의 이해관계와 맞아떨어지면서 일파만파 확산하고 있다"며 "유튜브와 가짜뉴스로 몸집을 불린 반중 정서에 정치권이 기름을 들이 붓는 양상"이라고 풀이했다.


그러면서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의 방한을 앞두고 최근 개선 흐름을 보이던 한·중 관계에도 변수가 생겼다는 우려가 나온다"고 했다. 이어 소위 중국전문가와 주한중국대사관, 중국 공산당 선전매체의 주장을 덧붙였다.


지난 18일 한국일보는 "청년층 스며든 반중 정서 자극해 ‘혐중 몰이’…보수의 위험한 도박"이라는 기사를 통해 "특정 온라인 커뮤니티와 유튜브에서 중국을 겨냥한 온갖 음모론을 담은 콘텐츠가 불티나게 소비되고, 2030세대 사이에서 ‘반중(反中)’을 넘어 ‘혐중(嫌中) 정서’까지 확산하고 있다"며 "정치권까지 가세해 부정선거 개입설 등을 퍼뜨리며 ‘혐중의 이념화’에 앞장서고 있어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온다"고 보도했다.


신문은 "무협, 홍콩 영화 등 중국 문화에 향수가 있는 중장년층(4050세대)과 달리 청년 세대는 역사왜곡(동북공정), 사드(THAAD) 배치로 인한 중국의 ‘한류금지령’, 미세먼지 이슈 등 중국에 대한 반감이 상대적으로 높다"며 "반중 정서가 깃든 청년층에게 정치권과 극우 세력이 무분별하게 중국 관련 음모론을 주입시켜 혐중을 촉발했다는 것"이라고 분석했다.


그러면서 "극우 세력이 두 번째 탄핵 국면에서 보수의 몰락 위기를 타개하려 혐중을 악용하고 있다"거나 "한미일 관계를 중시하는 극성 보수 세력에게 체제가 다른 중국은 쉽게 적대할 수 있는 대상"이라는 학자들의 주장을 전했다.


지난 20일에는 통일교 계열로 ‘반공’을 지향한다는 세계일보가 "너 화교야?·NO CHINA…고조되는 反中 정서, 한중 갈등 심화되나"라는 기사에서 나경원 국민의힘 의원이 헌법재판소와 선거관리위원회, 국가안보 관련 기관들에 한국 국적자만 채용하도록 공무원법 개정안을 발의했다는 소식에 대해 "이런 논란은 단순한 국내 정치적 문제를 넘어 국제 안보와 경제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고 보도했다.


이는 기성언론이 보여주는 ‘반중정서 감추기’의 극히 일부다. 어떤 매체는 ‘반중정서’에 대한 심층 분석보다 중국 상품들의 보안성 문제를 지적하며 ‘물타기식 보도’를 내놓는다.


◇ 중국 공산당의 패악질, 어떻게든 감추려는 민주당과 기성언론


이런 분석은 소위 보수우파 매체나 공중파 방송, 종편방송이라는 곳도 예외가 아니다. 지난 19일 조선일보는 "중국산 로봇 청소기가 보고 있다… 일상에 퍼지는 ‘中 감시 포비아’"라는 기사에서 "딥시크 개인정보 유출 이후 사생활 보안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며 로봇청소기, IP캠, 인터넷 공유기, 항구 크레인, 스마트폰 및 태블릿용 앱 등의 사례를 들었다.


그러면서 "중국산 제품들은 상대적으로 보안에 취약하다. 수집된 정보들은 해킹이나 느슨한 보안 규정으로 외부에 유출될 가능성이 높다. 이 정보를 민주적 통제를 받지 않는 중국 당국이 악용할 수 있다는 경고가 나오고 있다"는 정도로 설명했다.


이어 "중국 정부는 데이터 보안법에 따라 필요하면 얼마든지 자국 기업이 확보한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며 "한국뿐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중국발 ‘감시공포증’이 확산하는 이유"는 보안업체 관계자의 말을 덧붙였다.


이를 두고 오랜 기간 중국 공산당 문제를 연구해 온 사람들은 "박근혜 정부 초기부터 ‘안미경중(안보는 미국, 경제는 중국)’을 적극 외쳤던 매체답다"라며 중국 공산당의 한국 무력화 및 한반도 병합 전략 위험성을 어떻게든 희석하려는 의도가 있는지 의심스럽다고 평한다.


앞서 언급한 ‘반중 보도’들은 기성언론이 지닌 ‘권위’까지 더해지면서 중국 공산당의 궁극적 목표가 무엇인지, 우리나라에서 구체적으로 뭘 하려는지 파악하고 싶은 국민들의 눈을 흐리게 만든다. 여기다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의 공세적 정책을 부정적으로 보도하는 외신과 결합시켜 전하면, 중국 공산당과 중국 기업에 대해 부정적으로 생각하고 경계하는 시각과 태도를 가진 사람이 마치 쇼비니즘이나 징고이즘에 빠진 ‘극단주의자’처럼 보이게 마련이다.


결국 중국 공산당이 25년 전부터 미국의 패권을 빼앗겠다고 도전해 온 과정과 그들의 세계패권전략을 연구한 사람마저 ‘극단주의자’ 취급을 받게 된다.


기성언론이 이렇게 하는 이유는 지난 30년 동안 중국 공산당이 우리나라 각계각층에 뻗어온 손길 때문이라는 추정이 가능하다. 중국 공산당이 국내 기성언론에 얼마를 ‘후원’했는지는 알 수 없다. 하지만 과거 미 싱크탱크의 보고서를 보면 추정이 가능하다.


2018년 6월 허드슨연구소는 보고서를 통해 "중국 공산당은 해외에서 영향력을 행사하기 위해 매년 650억 위안(약 12조 8800억 원)의 비용을 해외침투를 위해 쏟아 붓고 있다" 이때가 코로나(우한폐렴) 대유행 이전이라는 점을 고려하면 전 세계적으로 반중정서가 심해진 지금은 더 많은 자금을 뿌리고 있으리라는 추정이 가능하다.


 

전경웅 기자 enoch2051@hanmail.net

출처 : 저작권자 © 자유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0 0
문화 주간 인기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