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尹에게 신뢰 받아→ 독대 한 번도 못 해’ 홍장원 ‘거짓 발언’ 논란

2025-02-06
조회수 1093

5일, 헌재 5차 변론기일 출석한 ‘야당 유착 의혹’ 홍장원

언론서 “신뢰 받는다”더니 검찰서 “독대 한 적 없어”

尹 “수사권·위치추적 못하는 국정원, 체포 지시 할 리가”


▲ 홍장원 전 국가정보원 제1차장이 4일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에서 열린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5차 변론기일에 증인으로 출석해 발언하고 있다. 헌법재판소 제공

 

홍 전 차장이 4일 헌법재판소에서 ‘12·3 비상계엄’ 당시 윤석열 대통령으로부터 정치인 체포와 관련해 직접 지시받았다고 증언한 것에 대한 ‘거짓 진술’ 논란이 일파만파 확산하고 있다.

 

윤 대통령 측 변호인 김 변호사는 헌재 5차 변론에서 홍 전 차장에게 (대통령과 통화한 적도 없으면서 직접 보고를 자주 했고 신뢰 받고 있다고 이야기 한 것에 대해 물으며) 그의 진술에 허점을 파고들었다. 윤 대통령 측은 홍 전 차장의 해임안 통과 후 더불어민주당에 탄핵·내란 몰이 등 관련 홍 전 차장의 메모가 넘어가며 그의 폭로가 시작됐다고 보고 있다.

   

5일 스카이데일리에 취재를 종합하면 홍 전 차장의 거짓 진술은 ‘위치 추적 요청’ 부분에서도 드러난다. 홍 전 차장은 전날 서울 종로구에서 열린 헌재  5차 변론에서 여인형 전 방첩사령관이 홍 전 1차장에게 불러줬다는 ‘체포 명단’이 적힌 메모도 공개했는데, 윤 대통령 변호인단 측은 통신 기록 조회까지 신청한 상황이다.

 

홍 전 차장은 “계엄 당일 밤 11시6분쯤 여 전 사령관이 통화로 지금 나가 있는 ‘체포조’를 위해, 주요 대상들의 소재를 파악해달라며 명단을 불러주길래,국정원장 관사 입구 공터에 서 있던 상태였지만 급한 대로 종이에 휘갈기듯 받아적었다”고 증언했다.

 

그는 “명단을 들으면서 ‘미쳤다’고 생각했고, 이 사람들 체포해서 방첩사 구금시설에 감금한 다음에 조사한다는 계획을 듣고 그걸 어떻게 합니까”라고 했다. 그는 중간에 받아적기를 멈춘 탓에 정확한 인원은 알 수 없지만 14명에서 16명으로 기억한다고 말했다. 홍 전 차장은 그 이유가 정치인 위치 추적이 되지 않아 국정원의 도움을 요청했다는 취지로 이해했다고 밝혔다.

 

이에 정형식 헌법재판관은 홍 전 차장이 여 전 사령관과 통화 중 기록한 메모지에 적힌 ‘검거 요청’이란 문구에 대해 의문을 제기했다. 수사권이 없는 국정원에 여 전 사령관이 검거를 요청해달라고 한 부분이 상식적으로 이해가 안된다는 취지에서다. 

 

홍 전 차장은 “국정원이 국제범죄를 할 수 있는 부분이 검거를 지원하고 실질적 체포는 경찰이 하는 만큼 항상 공조해 검거할 수 있는 인력은 있다”며 “다만 ‘검거 지원 요청’이 아닌 ‘검거 지원’이라고 정확하게 기재 못한 것은 죄송하다”고 말했다.

 

"국정원, 휴대전화 위치추적 불가"

"홍장원, 수사 절차도 모른다"

尹 "계엄 사무 아닌 간첩 잡으라 한 것"

 

해당 내용을 두고 전직 국정원 직원은 스카이데일리에 홍 전 차장의 발언은 ‘거짓 발언’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국정원은 휴대전화를 위치추적 할 수 있는 기술이 없다”며 “국정원은 수사시 필요할 경우 통신사에 통신제한조치라는 것을 통해 위치 추적하며 공문이 오고가야하는데, 갑자기 위치추적을 해달라는 것은 홍 전 차장의 새빨간 거짓말”이라고 했다. 이어 “위치 추적은 경찰이 하는 일인데 수사절차를 모르는 홍 전 차장이 할 수 있는 말이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4차 변론과 달리 직접 증인에게 질문하는 것이 금지된 윤 대통령도 홍 전 차장 발언 이후 이에 직접 반박할 기회를 얻어 자신이 조 원장의 건의를 받아들여 지난해 12월6일 홍 전 차장 해임안을 결재한 이후 폭로가 시작됐다고 주장했다.

 

윤 대통령은 12월3일 두 차례에 걸쳐 홍 전 차장과 통화했면서 첫 번째는 조태용 국정원장이 미국 출장 중인 것으로 잘못 알고 첫 번째 통화를 한 것이고, 두 번째는 계엄 사무가 아닌 간첩 검거와 관련해 방첩사(국군 방첩사령부)를 도와주라는 이야기를 한 것이라고 해명했다.

   

‘싹 다 잡아들이라’는 체포 대상자의 위치 추적 지원 요청에 대해서도 윤 대통령은 “"담당인 (국정원) 2차장도 아닌 1차장한테 계엄 사안과 관련한 무슨 부탁을 하냐?”며 “국정원은 수사권이 없고 검거는커녕 위치 추적을 할 수가 없다. 체포 관련 내용 자체가 말이 안 된다고 저는 보고 있다”고 거듭 강조했다.


 

장혜원 기자hyjang@skyedaily.com

출처 : 스카이데일리

0 0
사회 주간 인기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