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훈련 도중 마을에 폭탄이 떨어져 사고가 발생한 모습 (사진=SBS 뉴스 갈무리)
6일 경기 포천 지역에서 발생한 KF-16 전투기 오폭 사고에 대해 공군은 조종사가 비행 준비 과정에서 잘못된 좌표를 입력한 것이 원인이라고 발표했다. 공군 관계자는 "조종사 진술 등을 통해 입력 오류를 확인했다"고 밝혔다. 합동참모본부 관계자 역시 "좌표 확인 절차가 마련되어 있지만, 조종사의 실수로 인해 문제가 발생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이번 사고는 KF-16 전투기 2대가 사격 훈련 중 MK-82 폭탄을 투하하는 과정에서 발생했다. MK-82는 유도 기능이 없는 일반 폭탄으로, 건물이나 교량 파괴에 사용된다. 한 발당 폭발 반경이 축구장 크기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국방부에 따르면, 첫 번째 전투기의 조종사가 좌표를 잘못 입력한 것이 사고의 시작이었으며, 두 번째 전투기의 발사 과정은 추가 조사가 필요하다고 전했다.
한편, 이날 포천 승진과학화훈련장에서는 한미 연합 훈련 ‘자유의 방패’(FS)를 앞두고 공군과 육군이 실사격 훈련을 진행 중이었다. 공군은 오전 10시 4분경 KF-16 전투기에서 MK-82 폭탄 8발이 비정상적으로 투하되었으며, 그중 일부가 사격장 외부로 떨어졌다고 밝혔다.
이 사고로 오후 2시 기준 15명이 부상을 입었으며, 이 중 2명은 중상, 13명은 경상으로 보고됐다. 소방 당국은 현재까지 심정지 환자는 없으며, 부상자들은 의정부성모병원, 국군수도병원, 포천의료원 등에서 치료를 받고 있다고 전했다. 군인 2명은 성당에 머물던 중 부상을 입은 것으로 알려졌다.
조은영 meqhrma@naver.com
출처 : 저작권자 © 내외뉴스통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훈련 도중 마을에 폭탄이 떨어져 사고가 발생한 모습 (사진=SBS 뉴스 갈무리)
6일 경기 포천 지역에서 발생한 KF-16 전투기 오폭 사고에 대해 공군은 조종사가 비행 준비 과정에서 잘못된 좌표를 입력한 것이 원인이라고 발표했다. 공군 관계자는 "조종사 진술 등을 통해 입력 오류를 확인했다"고 밝혔다. 합동참모본부 관계자 역시 "좌표 확인 절차가 마련되어 있지만, 조종사의 실수로 인해 문제가 발생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이번 사고는 KF-16 전투기 2대가 사격 훈련 중 MK-82 폭탄을 투하하는 과정에서 발생했다. MK-82는 유도 기능이 없는 일반 폭탄으로, 건물이나 교량 파괴에 사용된다. 한 발당 폭발 반경이 축구장 크기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국방부에 따르면, 첫 번째 전투기의 조종사가 좌표를 잘못 입력한 것이 사고의 시작이었으며, 두 번째 전투기의 발사 과정은 추가 조사가 필요하다고 전했다.
한편, 이날 포천 승진과학화훈련장에서는 한미 연합 훈련 ‘자유의 방패’(FS)를 앞두고 공군과 육군이 실사격 훈련을 진행 중이었다. 공군은 오전 10시 4분경 KF-16 전투기에서 MK-82 폭탄 8발이 비정상적으로 투하되었으며, 그중 일부가 사격장 외부로 떨어졌다고 밝혔다.
이 사고로 오후 2시 기준 15명이 부상을 입었으며, 이 중 2명은 중상, 13명은 경상으로 보고됐다. 소방 당국은 현재까지 심정지 환자는 없으며, 부상자들은 의정부성모병원, 국군수도병원, 포천의료원 등에서 치료를 받고 있다고 전했다. 군인 2명은 성당에 머물던 중 부상을 입은 것으로 알려졌다.
조은영 meqhrma@naver.com
출처 : 저작권자 © 내외뉴스통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