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량 비용 당초 예상보다 1조원 이상
우리 공군이 운용하는 F-15K 전투기. 사진=공군
2005년부터 우리 공군에 배치된 공군 주력 전투기 F-15K를 성능 개량하는 비용이 당초 예상보다 1조원 이상 늘었다.
16일 방위사업청은 제165회 방위사업추진위원회(이하 방추위)를 열어 F-15K 성능개량 기종 결정안 등 4개 안건을 심의·의결했다고 밝혔다.
F-15K 성능개량 사업은 F-15K 임무 능력과 생존 가능성을 향상하기 위해 핵심 항공전자 장비 성능을 개선하는 사업이다.
사업 기간은 올해부터 2037년까지이며 총사업비로 약 4조5600억원이 책정됐다. 현재 59대 운용 중인 F-15K 1대당 성능개량 단가는 770억 원 이상이 된다.
앞서 2022년 12월 제148회 방추위에서 F-15K 성능개량 사업추진기본전략안을 의결할 때(총사업비 3조4600억원)와 비교하면 1조원 이상 늘어났다.
방사청은 비용 증가 사유로 “자재비‧인건비 상승과 군수산업 제조원 감소로 인한 공급망 재편 때문”을 들었다.
이번 사업으로 현행 기계식 레이더를 능동위상배열(AESA) 레이더로 바꿔 정보처리 속도를 1000배 높이고 임무 컴퓨터 메모리 용량을 확장해 현재 반자동인 전자전 장비를 자동으로 바꾼다.
방사청은 “장거리 임무 능력과 무장 탑재 능력을 더욱 효과적으로 발휘할 수 있도록 표적 식별, 타격 능력, 생존 가능성이 크게 향상된다"고 했다.
이날 방추위에서는 KF-21에 장착할 단거리 공대공 미사일을 국내 연구개발로 확보하는 단거리공대공유도탄-Ⅱ 사업에 대한 체계개발기본계획안이 의결됐다.
사업 기간은 내년부터 2035년까지이며 총 6615억원이 투입된다. 방사청은 이 사업으로 단거리 공대공 유도탄 기술력을 확보하면서 적의 위협에 대한 대응 능력을 높인다고 했다.
KF-21은 현재 단거리 공대공 미사일로 독일제 IRIS-T를 탑재할 수 있다. 국산 미사일이 개발되면 독일로부터 수출 허가를 받지 않아도 되므로 향후 KF-21과 패키지 수출이 가능해진다는 장점이 있다.
손원일급(KSS-Ⅱ) 잠수함 성능개량 사업의 체계개발기본계획안도 의결됐다.
도산안창호급(KSS-Ⅲ) 사업에서 확보한 국내 기술을 토대로 손원일급의 전투체계, 예인선배열소나, 기뢰회피소나, 부유식 안테나 등 장비 4종을 개량하는 사업이다. 내년부터 2036년까지 8076억 원이 들어간다.
잠수함구조함(ASR)-Ⅱ 배치-Ⅱ 사업은 현재 운용 중인 ASR-Ⅰ 청해진함이 수명 주기가 도래함에 따라 이를 대체하기 위한 함정을 국내 연구 개발로 건조하는 사업이다. 지난달 전력화된 강화도함(ASR-Ⅱ) 후속함이기도 하다.
이날 의결된 사업추진기본전략안 및 건조계획안에 따라 새로 건조할 함정에는 전자광학 장비와 구조작전 체계를 탑재해 탐색 및 구조작전 지휘 능력을 향상할 계획이다. 2026년부터 2031년까지 총사업비 6천364억 원이 투입된다.
글 이경훈 월간조선 기자
출처 : Copyright ⓒ 조선뉴스프레스 - 월간조선.
개량 비용 당초 예상보다 1조원 이상
우리 공군이 운용하는 F-15K 전투기. 사진=공군
2005년부터 우리 공군에 배치된 공군 주력 전투기 F-15K를 성능 개량하는 비용이 당초 예상보다 1조원 이상 늘었다.
16일 방위사업청은 제165회 방위사업추진위원회(이하 방추위)를 열어 F-15K 성능개량 기종 결정안 등 4개 안건을 심의·의결했다고 밝혔다.
F-15K 성능개량 사업은 F-15K 임무 능력과 생존 가능성을 향상하기 위해 핵심 항공전자 장비 성능을 개선하는 사업이다.
사업 기간은 올해부터 2037년까지이며 총사업비로 약 4조5600억원이 책정됐다. 현재 59대 운용 중인 F-15K 1대당 성능개량 단가는 770억 원 이상이 된다.
앞서 2022년 12월 제148회 방추위에서 F-15K 성능개량 사업추진기본전략안을 의결할 때(총사업비 3조4600억원)와 비교하면 1조원 이상 늘어났다.
방사청은 비용 증가 사유로 “자재비‧인건비 상승과 군수산업 제조원 감소로 인한 공급망 재편 때문”을 들었다.
이번 사업으로 현행 기계식 레이더를 능동위상배열(AESA) 레이더로 바꿔 정보처리 속도를 1000배 높이고 임무 컴퓨터 메모리 용량을 확장해 현재 반자동인 전자전 장비를 자동으로 바꾼다.
방사청은 “장거리 임무 능력과 무장 탑재 능력을 더욱 효과적으로 발휘할 수 있도록 표적 식별, 타격 능력, 생존 가능성이 크게 향상된다"고 했다.
이날 방추위에서는 KF-21에 장착할 단거리 공대공 미사일을 국내 연구개발로 확보하는 단거리공대공유도탄-Ⅱ 사업에 대한 체계개발기본계획안이 의결됐다.
사업 기간은 내년부터 2035년까지이며 총 6615억원이 투입된다. 방사청은 이 사업으로 단거리 공대공 유도탄 기술력을 확보하면서 적의 위협에 대한 대응 능력을 높인다고 했다.
KF-21은 현재 단거리 공대공 미사일로 독일제 IRIS-T를 탑재할 수 있다. 국산 미사일이 개발되면 독일로부터 수출 허가를 받지 않아도 되므로 향후 KF-21과 패키지 수출이 가능해진다는 장점이 있다.
손원일급(KSS-Ⅱ) 잠수함 성능개량 사업의 체계개발기본계획안도 의결됐다.
도산안창호급(KSS-Ⅲ) 사업에서 확보한 국내 기술을 토대로 손원일급의 전투체계, 예인선배열소나, 기뢰회피소나, 부유식 안테나 등 장비 4종을 개량하는 사업이다. 내년부터 2036년까지 8076억 원이 들어간다.
잠수함구조함(ASR)-Ⅱ 배치-Ⅱ 사업은 현재 운용 중인 ASR-Ⅰ 청해진함이 수명 주기가 도래함에 따라 이를 대체하기 위한 함정을 국내 연구 개발로 건조하는 사업이다. 지난달 전력화된 강화도함(ASR-Ⅱ) 후속함이기도 하다.
이날 의결된 사업추진기본전략안 및 건조계획안에 따라 새로 건조할 함정에는 전자광학 장비와 구조작전 체계를 탑재해 탐색 및 구조작전 지휘 능력을 향상할 계획이다. 2026년부터 2031년까지 총사업비 6천364억 원이 투입된다.
글 이경훈 월간조선 기자
출처 : Copyright ⓒ 조선뉴스프레스 - 월간조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