톱뉴스


국제선거감시단이 지목한 조작의 핵심, 무엇이 문제인가?

2025-06-08
조회수 1202
유권자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사진출처= 시사매거진 유튜버 영상 캡쳐


[내외뉴스통신] 김광탁 편집자주

2025년 조기대선을 둘러싼 국제선거감시단의 부정선거 주장이 정치권과 시민 사회에 파장을 일으키고 있다.

감시단은 이번 선거에 대해 "민주주의 절차가 훼손된 중대한 사안"이라고 규정하며,

사전투표 조작, 유령 유권자 개입, 통계적 비정상 패턴 등의 핵심 의혹을 공개했다.


이번 분석에서는 국제선거감시단이 주장하는 부정선거 의혹의 핵심 내용을 항목별로 정리하고 그 근거와 논리를 집중 조명한다.


핵심 ① 550만 유령 유권자 존재 주장

주장 요지: 사전투표 집계에 존재하지 않는 540만~550만 명의 유령 유권자가 포함되었다는 것.


주장 근거ㅡ 주민등록 유권자 수 대비 실제 투표자 수와 불일치, 사전투표 수의 급증.


의미 : 이는 선거결과를 왜곡할 수 있는 구조적 조작의 핵심 증거로 간주된다.


핵심 ② 사전투표 시스템의 취약성과 조작 가능성

투표용지: 사전 승인된 도장이 사전에 인쇄된 채로 배포되며, 개별 인감이 아님.


지문 인증: 지문 검증이 불완전, 투표 직후 지문 이미지가 즉시 삭제되어 검증 불가.


의혹 제기: 이는 실제 유권자 확인 절차가 무력화된 상태에서 대규모 위조 가능성을 열어놓는다는 주장이다.


핵심 ③ ‘대수의 법칙’ 위배: 통계적 비정상

주장 요지: 본투표에서 앞선 후보가 사전투표에서 대패한 결과는 통계적으로 설명 불가하다는 것.


논리: 많은 수의 표본에서는 본투표와 사전투표의 패턴이 일관돼야 한다는 '대수의 법칙' 원칙을 기반으로 함.


문제 제기: 사전투표가 일관되게 반대 방향으로 흐른 것은 인위적 개입의 정황이라는 분석.


핵심 ④ 선거 알고리즘 및 전산 조작 의혹

과거 사례 인용: 부산 교육감 선거에서 사용된 것으로 알려진 알고리즘이 대선에도 사용되었을 가능성을 제기.


추정 조작 규모: 600만 표 이상 조작 가능성이 있다는 내부 시뮬레이션 분석을 기반으로 주장.


핵심 ⑤ 중앙집중형 선거관리 구조의 불투명성

감시 불가 구조: 중앙선거관리위원회는 모든 과정을 중앙 집중적으로 통제, 외부 검증이 사실상 불가능.


현장 감시 미흡: 현장 수개표 및 실시간 확인이 차단된 구조라는 점도 문제로 지적됨.


결론

국제선거감시단은 이번 2025년 조기대선을 “민주적 정당성 회복을 위한 분기점”으로 규정하며,

선거 무효 소송, 전산 자료 제출, 투표지 실물 검증 등을 강력히 요구하고 있다.


이들이 제시한 의혹은 아직 법적 판단을 받지 않았지만,

사전투표 시스템의 불투명성과 전산 기반 선거의 구조적 허점에 대한 사회적 논의는 불가피해 보인다.


이럴수가? "김문수가 145만 표나 이겼다!" 국제선거감시단 긴급 성명서 발표

<발췌 - 시사매거진 유튜버 영상>



김광탁 편집자주 nsr6828@naver.com

출처 : 저작권자 © 내외뉴스통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0 0
실시간 뉴스